수급균형 위한 적정샌상정책 추진으로 재배면적 2.6%

통계청은 2023년 쌀 예상생산량이 전년도 376만4천톤보다 2.1%(8만톤) 감소한 368만 4천톤으로 잠정 조사됐다고 밝혔다.
생산량 감소 주요 원인은 재배면적인 2.6% 감소했기 때문으로 이에 따라 8만톤 감소가 추정되었다.
쌀 재배면적은 70만 8,041ha로 전년의 72만 7,054ha보다 2.6% 감소했으며, 이는 쌀 수급균형을 위한 적정생산 정책 추진 등으로 재배면적이 감소했다.
10a당 예상생산량은 520kg으로 전년의 518kg보다 0.5% 증가했다.
가지치는 시기(분얼기)에 집중호우 영향으로 포기당 이삭수 감소하였으나, 벼 낟알이 형성되는 시기(유수형성․수잉기, 출수․개화기, 7월~8월)에 일조시간 증가 등 기상여건 양호하여 1㎡당 완전 낟알수 증가로 전년대비 10a당 생산량 소폭 증가했다.
포기당 이삭수는 2022년 20.9개였으나 올해는 20.7개로 0.2개 하락하였고, 1㎡당 완전 낟알수는 2022년 2만9,417개에서 올해 2만9,639개로 222개가 증가했다.
이에 따라 재배면적이 2.6%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년대비 쌀 생산량 감소는 2.1%인 8만톤으로 추정됐다.
시도별 쌀 예상생산량은 전남(72만 8천톤), 충남(72만톤), 전북(57만 5천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저작권자 © 팜인사이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