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385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소비자의 선택 유통인의 선택- 농축산물 등급제 소비자들은 식품을 구매할 때 어떤 기준으로 구매를 결정할까?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상품을 구매할 때 두 가지 기준을 가지고 접근을 한다. 먼저 자신의 예산을 고려하고 다음 해당 예산으로 구매 가능한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저울질 하게 된다.소스타인 베블런(Thorstein Bunde Veblen)의 대표저서인 유한계급론 속의 무한계급이라면 돈이 한없이 많기 때문에 예산보다는 제품의 품질이나 가치만을 따지는 드문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격과 품질을 가지고 상품과 서비스를 평가하고 구매로 이어지게 된다.미시경제 이론에서는 팜기획 | 김재민 기자 | 2017-12-26 14:10 [글로 보는 탐방] 신선식품 미다스의 손, 이마트의 ‘손자병법’ 신선식품의 실크로드. 이마트는 그렇게 불린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소비하는 신선식품의 절반(약 48%)은 이마트를 거치고 있어 틀린 말도 아니다. 1990년대 새로운 유통형태의 등장과 유통시장개방으로 글로벌 유통기업들이 속속 한국에 상륙할 때만 해도 까르프, 테스코 등이 국내 유통시장을 장악할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이들은 불과 몇 년만에 국내 업체들에게 자리를 내줬다. 내로라하는 굵직한 글로벌 기업들이 유독 국내에서 맥을 못 추고 고꾸라진 건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신선식품을 공략하지 못한 탓이 컸다.세계적으로도 까다 팜기획 | 박현욱 기자 | 2017-12-15 10:10 [도드람의 실험] 농민이 만드는 '경쟁'과 '협동'의 컬래버레이션 “왝더독(Wag the Dog)”롤러코스터처럼 들쭉날쭉한 돼지 부산물 가격을 두고 돈육업계에서 회자되는 말이다. 부산물 가격이 떨어지면 부산물로부터 수익을 얻었던 중도매인들이 그 리스크를 지육가격에 전가시키는 행태를 업계에선 ‘꼬리가 몸통을 흔든다’고 표현한 것이다.돼지 부산물은 돈육업계에서는 늘 골칫거리였다. 깨끗하고 잘 손질된 외국산 부산물까지 우후주순 수입되자 국내산 부산물 시장은 소위 종쳤다는 표현까지 나올 정도로 암울한 상황이었다. 구제역이 터지자 부산물 가격 등락은 더욱 심화됐고 악화됐다.2011년 구제역 대란 이후 부산 팜기획 | 박현욱 기자 | 2017-12-13 07:44 미국의 입맛에 맞을 때까지 재협상하는 FTA 2006년 협상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면서 시작된 한미FTA는 8차례의 협상과 고위급 협상을 거쳐 2007년 3월 한미 FTA 통상장관 회의 끝에 2007년 4월 2일에 협상 타결을 선언했다.1년이 넘게 협상을 하고 타결 선언까지 했지만 미국의 요구로 두 차례의 협의를 하고 나서 추가협상까지 타결됐고 그해 6월 30일 한미 FTA 타결 서명을 하고 9월 7일 한미 FTA 비준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그러나 자동차 관련 협상을 문제 삼아 미국은 재협상을 요구했고 2010년 열린 G20 서울 정상회의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자동 팜기획 | 연승우 기자 | 2017-12-11 16:40 [프롤로그]안전한 농축산물은 무엇일까 안전한 먹거리를 추구하는 건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요구사항이다. 인간의 입을 통해서 몸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인간에게 가장 위해적인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이 먹거리이지만 인간은 먹거리를 통해 살아가는데 필요한 영양소와 에너지원을 얻을 수 있다.특히 한국은 약식동원이라는 개념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다. 약식동원(藥食同源)은 질병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약물과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음식물의 근원이 동일하다는 뜻이다.즉 국내 소비자들은 좋은 먹거리, 안전한 먹거리를 통해 자신의 건강을 지킬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국내에서 안전한 먹거리를 팜기획 | 연승우 기자 | 2017-12-04 16:54 처음처음이전이전이전11121314151617181920끝끝